카테고리 없음

2024 한일 증시 심층 분석과 2025년 일본증시 전망

posterius 2025. 1. 14. 12:20

오늘은 2024년 한, 일 증시의 수익률 비교 및 시가총액 10대 기업들에 대하여 확인해 보고 앞으로 일본 증시의 전망에 대하여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현재 시장 상황

2024년 일본 증시는 닛케이255지수가 34년 만에 최고치인 36,000포인트를 돌파하여 연초 대비 6.8% 상승했습니다. 반명 한국 KOSPI는 2,500선에서 등락을 반복하여 -2.3% 수익률을 기록 중입니다.

 

일본 증시 강세의 3대 동력

 

1.구조적 변화의 가시화

  • 도쿄증권거래소의 기업지배구조 개혁 프로그램으로 PBR 1배 미만 기업 비중 30% 에서 15% 감소함
  • 자사주 매입 규모 전년 대비 40% 증가
  • 평균 ROE 8%에서 12% 상승

2. 글로벌 투자자금 유입

  • 워렌 버빗의 일본 5대 사 투자(약 150억 달러) 이후 외국인 순매수 500억 달러 돌파
  • 글로벌 펀드의 일본 주식 비중 5년 내 최고치 기록

3. 매크로 환경 개선

  • 엔, 달러 환율 150엔대 안정화로 수출 기업 영업이익률 평균 15% 상승
  • 관광객 수 코로나 이전의 90% 수준 회복
  • 실질 임급 승승올 내수 회복 가시화

시가총액 TOP 5개 기업 비교 분석

 

일본 시가 총액 5대 기업

  1. 도요타자동차 (32조엔) - 자동차
  2. 소니그룹 (15조엔) - 전자/엔터
  3. 키엔스(13조 엔) - 공장자동화
  4. NTT(12조 엔) - 통신
  5. 미쓰비시 UFJ(11조 엔) - 금융(산업별 분포 : 제조업 40%, 금융 20%, IT/통신 25%, 서비스 15%)

한국 시가총액 5대 기업

  1. 삼성전자(380조 원) - 반도체/전자
  2. SK하이닉스(98조 원) - 반도체
  3. LG에너지설루션(95조 원) - 2차 전지
  4. 삼성바이오로직스(58조 원) - 바이오
  5. 삼성 SDI(52조 원) - 2차 전지(산업별 분포 : 반도체 45%, 2차 전지 25%, IT/플랫폼 20%, 기차 10%)

2025년 일본 증시 전망

 

성장 모멘텀

  • 기업실적 개선 지속 전망(EPS 성장률 10~15% 예상)
  • 디지털 전환 사속화로 IT 투자 증가(연간 20조 엔 규모)
  • 인바운드 관광객 완전 회복으로 내수 활성화

투자 포인트

  • PER 15 수준으로 여전히 글로벌 대비 저평가
  • 기관투자자의 일본 주식 비중 확대 여력 존대
  • 기업지배구조 개선

주요 리스크

  • 엔화 강세 전환 가능성
  • 글로벌 경기 둔화
  • 중국경제 불확실성

실전 투자 전략

포트폴리오 구성안

  • 글로벌 경쟁력 부유 수출주 40%
  • 내수 소비재/서지스주 30%
  • 고배당 금융/통신주 30%

단계별 투자 전략

  • 1단계 : 시장 조정시우량 대형주 중심 매수
  • 2단계 : 실적 개선 중소형주로 포트폴리오 확대
  • 3단계 : 배당주 비중 단계적 확대

2025년 일본 증시의 투자 전략 및 주요 리스크, 마지막으로 단계별 투자전략까지 살펴보았습니다. 일본 증시는 기업 가치 재평가와 실적 개선이 지속되며 상승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글로벌 경기와 환율 변동선 등 리스크 요인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. 일본 증시 투자를 준비하고 있으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글이었으면 합니다.